
미래 식량에 대한 논의가 늘어나는 가운데,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고기를 얻기 위해 사육되는 비단뱀이 성장 속도가 빠르고 사료 효율도 높아서 지속 가능한 식량 생산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각) 호주 시드니 매콰리대 대니얼 나투시 박사팀은 15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는 태국과 베트남 농장에서 사육되는 비단뱀의 1년간 성장 속도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비단뱀은 성장 속도가 빠르고 사료 효율도 높아 가축 등 기존 축산시스템을 보완할 지속 가능한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가축 생산에서 어류나 곤충, 파충류 같은 냉혈 동물은 소나 가금류 같은 온혈동물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은 특징이 있다.
이에 연구팀은 태국 우타라딧주와 베트남 호찌민시에 있는 비단뱀 농장 두 곳에서 사육되는 4601마리의 말레이비단뱀과 버마비단뱀의 성장률과 사료 전환율 등을 분석했다. 비단뱀에게 야생 설치류와 어분 등 현지에서 조달할 수 있는 단백질 먹이를 주고 1년간 정기적으로 몸무게를 측정하고 먹이를 주지 않는 기간 중 무게 변화도 조사한 것이다.
그 결과, 비단뱀은 성장 속도가 빠르고 사료 효율도 높아 가축 등 기존 축산시스템을 보완할 지속 가능한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따르면, 비단뱀은 먹이를 자주 먹지 않아도 12개월 동안 빠르게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컷이 수컷보다 성장률이 높았고 하루 체중 증가량은 버마비단뱀이 0.24~42.6번, 말레이비단뱀이 0.24~19.7번에 달했다. 또 20~127일 동안 먹이를 주지 않는 실험에서 하루 체중 감소량이 평균 0.004%에 불과했고, 먹이를 다시 주면 빠른 성장세를 회복했다.
연구팀은 비단뱀의 전체 몸무게 중 82%가 고기 등 사용가능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실험 결과 비단뱀 사육이 기존 축산시스템을 보완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식량 생산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뱀고기는 동남아 등 일부 국가에서 인기가 높고 사육도 활발하다. 지난해에는 미국의 피자 체인 피자헛이 홍콩에서 뱀고기를 올린 피자를 신메뉴로 내놓아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그러나 뱀 고기를 먹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나 인식 등이 받쳐주지 못해 아직 규모가 작고 큰 관심을 끌지 못하는 실정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