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월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오찬에 앞서 바깥 풍경을 바라보며 환담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월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오찬에 앞서 바깥 풍경을 바라보며 환담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친윤(윤석열)계 핵심인 이철규 의원이 국민의힘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공천 과정에 반발해 "진행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았다"고 문제제기하면서 '윤-한 갈등'이 재점화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힘 공동인재영입위원장이자 공천관리위원인 이 의원은 20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초 국민의힘에선 비례대표를 국민의힘 공관위에서 고심해서 결정한 후 국민의미래로 이완하기로 뜻을 모았지만, 당 지도부에서 이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당규를 근거로 들면서 "저는 우리 당 공동인재영입위원장으로서 비례 공천 과정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어떤 분들은 '왜 국민의힘 인재영입위원자이자 공관위원이 국민의미래 공천에 반응하느냐, 월권 아니냐'고 말씀하시는데 그렇다면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도 장동혁 사무총장도 모두가 다 월권이고 모두 다 잘못된 것이다. 오히려 장 사무총장은 관여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발표 직전까지 명단도 알 수 없었기 때문에 비례 추천과 관련해 한 위원장과 충돌이 발생할 이유도 없다"며 "그리고 월요일 일요일 오후 4시반 이후부터 한 위원장과 대면한 사실조차도 없다. 오로지 짧은 전화통화를 한 게 전부이고 그 통화도 지극히 사무적이고 의견 전달한것 뿐"이라고 전했다.

이 의원이 공개적으로 비례 공천을 비판하는 데에는 한 위원장에 대한 윤 대통령의 불만이 반영된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언론인 회칼 테러' 발언 논란의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이 자진 사퇴하고, 출국 논란이 일은 이종섭 주호주대사가 조기귀국을 밝히며 대통령실이 당의 요구를 수용한 모양새가 됐지만, 지난 1월 불거진 이른바 ‘김건희 여사 리스크’를 비롯해 등 한 위원장이 윤 대통령과 관련한 문제들에 독자적 행보를 보이자 쌓여온 불만이 폭발했다는 것이 정치권 안팎의 해석이다.

특히 막말 논란이 일은 도태우·장예찬 후보 공천 취소 등 공천문제가 한 위원장과 윤 대통령 사이의 뇌관으로 남아있다. ‘비례대표 명단’ 문제제기는 표면적인 이유일 뿐 실상은 '총선 주도권 싸움'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대통령실의 이 대사, 황 수석 조치에 따라 한 위원장도 "저희가 결국 오늘 다 해결했다"며 논란 수습에 나섰던만큼 수도권 지지율 결집을 위해서라도 비슷한 노선으로 풀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