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에서 3일 규모 7이 넘는 25년만에 가장 강력한 지진이 발생해 건물이 무너지고 정전이 발생하는 피해가 발생갷다.
3일(현지시각)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58분(현지시간) 대만에서 규모 7.4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로부터 10여 분 뒤에는 규모 6.5의 여진까지 이어졌는데, 이 영향으로 대만은 물론 지진 발생 지역에서 700여㎞ 떨어진 일본 오키나와에도 최대 3m 높이의 쓰나미 경보가 발령됐다.
대만 지진의 영향으로 일본 서남단 요나구니지마에는 높이 30㎝의 쓰나미가 도달했고, 필리핀 당국도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EMSC에 따르면, 이번 지진의 진앙은 북위 33.53도, 서경 96.73도다. 인구 35만명 도시 화롄에서 남동쪽으로 7㎞ 떨어진 곳으로 지진의 발생 깊이는 20㎞다. 강진 발생 뒤 규모 6.5의 여진이 한 차례 뒤따르기도 했다.
대만 당국은 이번 지진은 1999년 2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낳은 규모 7.6 지진 이후 가장 큰 규모라고 설명했다.
EMSC는 지진의 규모를 7.3으로 밝혔다가 7.4로 수정했다. 일본과 중국 기상 당국은 각각 규모 7.5, 규모 7.3으로 관측하기도 했다.
엑스(X·옛 트위터)에는 건물이 무너져 주차된 오토바이들이 깔린 모습이 담긴 영상이 올라왔다. 해당 영상에는 방이 흔들리고 물건들이 떨어지는 등 긴박한 모습도 보였다.
3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진은 이날 오전 7시 58분 대만 화롄현 남남동쪽 23㎞ 해역에서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는 16㎞로 관측됐다. 기상청은 규모 7.2의 지진이 감지됐다고 밝혔다.
다만 기상청은 “국내 영향은 없다”고 밝혔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지진의 규모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만큼 크지 않고, 단층 방향이 북동~남서로 형성되어 있어, 에너지는 단층 방향의 수직인 방향(남~남동 방향)으로 전파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상청은 “국내 영향은 없다”고 밝혔다. 기상청 관계자는 “지진의 규모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만큼 크지 않고, 단층 방향이 북동~남서로 형성되어 있어, 에너지는 단층 방향의 수직인 방향(남~남동 방향)으로 전파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