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일 열릴 윤석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표의 영수회담에 대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표면적으로는 협치를 강조하면서도 실제로는 동상이몽의 분위기다.
양당이 이번 회담에 대해 내세우는 키워드는 협치다. 국민의힘 정희용 수석대변인은 27일 논평에서 "민생의 고통이 큰 시급한 현안을 먼저 살피라는 민심의 목소리를 받들고 실질적 성과를 도출하려면 무엇보다 '협치'가 기반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최민석 대변인 역시 같은날 "영수회담이 민의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머리를 맞대고 답을 찾는 자리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양당은 논평에 각각 뼈 있는 표현을 써가며 이번 회담에 대한 진짜 속내를 담았다. 민주당은 "이 대표가 회담을 제안한 것으로부터 무려 700여 일만"이라며 "실무협상 과정에서 대통령실이 보여줬던 태도는 국정 기조 전환이 이뤄질 수 있을지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4·10 총선을 통해 국민이 분명히 명령했고 영수 회담은 그런 총선 민의에 대통령께서 화답하는 자리"라며 "대통령실이 의제들에 대한 실천 의지를 보이지 않았지만, 대통령의 답은 이미 정해져 있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역시 논평에서 "일방적인 강경한 요구는 대화에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며 "국민이 보여준 총선의 선택이 한쪽의 주장만을 관철해 내라는 뜻으로 오독해서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견이 큰 사안일수록 한발 물러서서 더욱 깊이 고민하고 국민의 의견을 묻고 먼저 민심을 경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과 이 대표 간 첫 회담은 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1시간 넘게 의제 제한이 없는 차담 형식으로 열린다.
정해진 의제가 없어 자유로운 의견 개진이 가능하지만, 오·만찬 형식에 비해 회담 시간이 그리 길지 않은 만큼 이 대표는 '백화점식' 의제 나열보다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대표가 대통령실의 제안을 수용해 사전 의제 조율을 건너뛰고 '자유 회담' 형식을 수용한만큼 당내에서는 이 대표가 윤 대통령에게 야당의 선명한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