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3040세대 원외 소장파 모임 첫목회 간사인 이재영 의원이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을 두고 "지금 안 나오면 도망가는 모습"이라고 했다.
이 의원은 6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에서 "부를 기회가 있을 때 선거는 출마해야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포인트는 한 전 위원장 본인이 논란의 중심이 돼버렸고, 많은 사람들이 나오라고 요구하는 상황"이라며 "피한다고 하면 다시 기회가 올까 (싶다)"고 예측했다.
이 의원은 "처음에는 (전당대회에) 나오지 않는 것이 오히려 기회를 만들기에 좋았을 것"이라며 "좀 쉬면서 재정비하면서 그 공간을 만들어 나갔어야 하는데 본인의 의지와는 다르게 당겨져 버렸기 때문에 이것을 발로 걷어차는 모습이 보였을 때는 사람들이 실망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한 전 위원장을 견제하기 위해 당내에서 '2인 지도체제'를 검토 중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는 것에 대해선 "친한(친한동훈계)에서는 견제론이라고 생각하고 친윤(친윤석열계)에서는 이것을 견제하기 위해 집단지도체제로 가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당에 '2인 지도체제'를 제시했다. 황 위원장이 띄운 2인 지도체제는 당대표가 당선된 후 선거상 2등을 부대표로 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당 대표가 직을 상실할 경우 부대표가 대표직을 승계해 지도부 안정성을 높이려는 취지다. 여러 해석 가운데 '한동훈 견제'라는 비판적인 시선이 제기되고 있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연금 개혁 토론회에서도'2인 지도 체제에 대해 "절충형으로 가는 건 저희도 동의하고 있지 않다"고 반대했다.
그는 "우리는 전당대회 룰 5:5 입장에 변함이 없고, 꼭 집단 지도 체제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 얘기를 꺼냈을 때는 어떤 특정인을 위한 발언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어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위하는 거냐, 반대하는 거냐는 측면이 전당대회 룰 변경 논의의 기준점이 되는 건 매우 우려스럽다"고 했다.
그는 2인 지도 체제가 한 전 위원장의 견제를 위한 것인지에 대해선 "황 위원장이 소위 하이브리드 형태를 들고 나오면서 특정인의 지지나 견제를 염두에 뒀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이어 "특정인을 두고 논란이 돼서 제도 개선을 할 거면 현 상태를 유지하던지 순수 집단지도 체제로 넘어가든지 둘 중 하나로 넘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尹과 두 번째 만남 조국 “민심을 받들라” 쓴소리
- 이재명 "산유국론 뜬금포"에 발끈한 與
- 尹 "북한, 정상적 나라는 부끄러워 할 비열한 도발, 좌시 안해"
- 이준석 "가족은 좀...'한동훈 특별법' 가족수사 연좌제 안돼"
- 논란의 인도 출장 동행했던 고민정 "그 기내식 대단한 음식 아냐"
-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출마 반대 49.1%, 찬성 42.3%
- 22대 국회 개원, 헌정 사상 처음으로 출발부터 반쪽 국회
- 추미애의 제안...尹 겨냥 "탄핵만답이다 6행시 챌린지하자"
- 조정훈 "한동훈 면담 요청 거부 기록도 총선 백서에 남길 것"
- '현충일 욱일기' 집으로 몰려간 시민들...커지는 파장
- 나경원 "집단지도체제는 '봉숭아학당', 단일지도체제로 가야"
- 與 "협치하겠다는 일말의 기대도 물거품... 원내대표 회동 거부"
- 아브레우 "영일만 유전 20% 확률은 높은 수준의 가능성"
- 나락보관소 "밀양 성폭행 가해자 중 1명 공공기관 근무" 폭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