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서울 한강벨트를 규제지역으로 확대할 경우, 집값이 급등한 성동·광진·마포구보다는 강동·동작·양천구 등에서 대출 여력이 줄어들어 타격이 더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현재 규제지역 외에 속한 한강벨트 가운데 성동·광진·마포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현행 70%에서 40%로 강화되더라도 사실상 대출 가능 금액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작·강동·양천·영등포구는 규제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대출 가능 금액이 줄면서 자기자본 부담이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수도권은 6·27 대출 규제에 따라 LTV와 관계없이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최대 6억원으로 제한돼 있다. 평균 아파트 가격이 15억원을 넘는 고가 지역에서는 LTV 수준이 낮아도 사실상 6억원까지 밖에 대출받을 수 없는 구조다.
예를 들어, 성동구의 평균 아파트 시세는 16억9225만원이다. 이 경우 LTV가 70%일 때 대출 한도는 약 11억8458만원이지만, 실제론 6억원까지만 대출 가능하다. 규제지역이 되어 LTV가 40%로 축소되더라도 대출 한도는 약 6억7690만원으로 역시 6억원 제한에 걸린다. 평균 시세가 각각 16억2463만원, 15억2487만원인 광진구와 마포구도 마찬가지로 규제지역 지정에 따른 실질적 변화는 없다.
반면 평균 아파트값이 15억원 미만인 동작, 강동, 양천, 영등포구는 이야기가 다르다. LTV가 40%로 강화되면 현재 6억원까지 가능했던 대출이 5억원대로 줄어들어 자기자본 부담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오세훈 "13조 현금살포는 미래세대 약탈"...'소비쿠폰' 비판
- 김민석, 한글날 축사..."APEC서 한글 우수성 알리겠다"
- 박지원 "대통령실 '냉장고 논란' 대응 아쉬움 있어"
- 민주 김현정 “국힘, K푸드 깎아내리는 저급한 정치 공세”
- '방산특수' 한화 시총, 1년 새 3배 성장…10대그룹 3∼7위 모두 변동
- 전현희 "코스피 3500 돌파와 민생쿠폰, 이재명 정부 유능함 보여줘"
- 이준석 '동탄 미시룩' 댓글 논란…"추근댄 적 없다" 법적 대응 예고
- 노벨평화상 발표 D-1…네타냐후 "트럼프에 자격 있다"
- 캄보디아서 납치된 韓대학생 사망 "고문으로 심장마비"
- 장동혁 "관세협상 내용 공유하라...국민의힘도 힘 보탤 것"
- 종부세의 역설...수도권과 지방 아파트값 격차 17년 만에 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