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주택가 모습. photo 뉴스1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주택가 모습. photo 뉴스1

정부가 서울 한강벨트를 규제지역으로 확대할 경우, 집값이 급등한 성동·광진·마포구보다는 강동·동작·양천구 등에서 대출 여력이 줄어들어 타격이 더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현재 규제지역 외에 속한 한강벨트 가운데 성동·광진·마포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현행 70%에서 40%로 강화되더라도 사실상 대출 가능 금액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작·강동·양천·영등포구는 규제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대출 가능 금액이 줄면서 자기자본 부담이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수도권은 6·27 대출 규제에 따라 LTV와 관계없이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최대 6억원으로 제한돼 있다. 평균 아파트 가격이 15억원을 넘는 고가 지역에서는 LTV 수준이 낮아도 사실상 6억원까지 밖에 대출받을 수 없는 구조다.

예를 들어, 성동구의 평균 아파트 시세는 16억9225만원이다. 이 경우 LTV가 70%일 때 대출 한도는 약 11억8458만원이지만, 실제론 6억원까지만 대출 가능하다. 규제지역이 되어 LTV가 40%로 축소되더라도 대출 한도는 약 6억7690만원으로 역시 6억원 제한에 걸린다. 평균 시세가 각각 16억2463만원, 15억2487만원인 광진구와 마포구도 마찬가지로 규제지역 지정에 따른 실질적 변화는 없다.

반면 평균 아파트값이 15억원 미만인 동작, 강동, 양천, 영등포구는 이야기가 다르다. LTV가 40%로 강화되면 현재 6억원까지 가능했던 대출이 5억원대로 줄어들어 자기자본 부담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