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그룹 시가총액이 지난 1년 새 3배 이상 늘었다. 올해 주식 시장을 뜨겁게 달군 방산과 조선주를 등에 업은 효과다. 이 기간 국내 10대 그룹 가운데 삼성과 SK는 부동의 1·2위를 지켰으나 3∼7위는 모두 순위가 바뀌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화그룹 상장사들의 시총 합산은 지난 2일 기준으로 1년 전 40조 3264억원에서 125조5156억원으로 약 3.1배(211%) 늘어났다. 주가를 견인한 것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14조1070억원에서 56조5650억원으로 300% 이상 늘었다. 이 기간 한화오션(264.4%), 한화엔진(264.2%), 한화시스템(236.3%) 등 시총도 크게 증가했다.
HD현대와 SK도 체면을 차렸다. 1년 새 시총 합산이 HD현대는 58조 8348억원에서 136조 2477억원(131.6%), SK는 196조 5926억원에서 361조 9081억원(84.1%)으로 늘었다. 삼성(32.4%), 현대차(19.6%), 신세계(13.1%), GS(9.3%)가 뒤를 이었다.
반면 철강관세 직격탄을 맞은 포스코그룹의 시총은 65조 6377억원에서 47조 8542억원으로 27.1% 줄었다. 중국의 추격으로 TV·가전·배터리·석유화학 등 그룹 사업 전반적으로 경영 환경이 악화한 LG그룹의 시가총액도 170조 7018억원에서 154조 370억원으로 9.8% 감소했다.
이에 따라 10대 그룹 시총 순위도 달라졌다. 삼성과 SK는 부동의 1·2위를 지켰으나 3위였던 LG가 4위로 내려가고, 현대차는 4위에서 3위로 올라섰다. 5위였던 포스코는 7위로 내렸고, 6·7위였던 HD현대와 한화는 각각 한계단씩 올라섰다. 8∼10위는 롯데·GS·신세계가 그대로 자리를 지켰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정청래 "코스피 5000 달성에 모든 당력 집중할 것"
- 개미들 '金'투자에 '우르르'…9월에만 4400억 담아
- 李대통령, 국내 ETF 수익률 4개월만 26.4 %
- 李대통령 "부동산 안정 대책, 끊임없이 내놓을 것"
-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100억원으로"... 국힘 박수영 법안 발의
- 코스피, 미국발 훈풍과 한미 정상회담 기대감에 '환호'
- 개헌부터 코스피 5000까지…베일 벗은 李 정부 5년 국정과제
- 文의 소득주도성장 오답노트에서 찾는 코스피 5000 해법
- 한화, 시총 증가율 1위...관세협상이 증시 지형 바꿨다
- 박지원 "대통령실 '냉장고 논란' 대응 아쉬움 있어"
- 김민석, 한글날 축사..."APEC서 한글 우수성 알리겠다"
- 북한엔 1인자, 중국엔 2인자… 베트남공산당 서기장 평양 도착
- 국세청서 민간 이직… 월급 16배 올려받은 공무원
- 한강벨트 '규제지역' 확대하면 강동·동작 '직격탄'
- 방한 앞둔 시진핑, ‘韓美 조선협력’ 상징 한화오션 때렸다
- 李대통령 “코스피 최고가...비생산적 투기 수요 철저 억제”
- 한화오션, 거제서 세계 최고 디젤잠수함 '장영실함' 진수식
- 코스피 ‘4000’ 넘기며 새 역사...삼성전자 '10만 전자' 달성
- 중국서 흔들린 스타벅스, 지분 60% 장쩌민 손자 측에 매각
- '유통공룡'된 네이버...7대 유통사 순이익 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