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등 고강도 수요 억제책에도 국민 두 명 중 한 명은 내년 상반기 집값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등 인기 주거지의 아파트값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5일 부동산R114가 발표한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1458명 가운데 52%가 "내년 상반기 주택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2021년 하반기(6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직전 조사(올해 하반기) 대비 3%포인트 상승했다.
상승 전망의 이유로는 '핵심 지역 아파트값 상승'(35%)이 가장 많았다. 이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13%), '서울 등 주요 도심의 공급 부족 심화'(11%), '정부 규제에 따른 매물 잠김'(9%)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자 중에서 대출 규제로 매수세가 약화할 것(38%)이라고 내다본 사람이 가장 많았다. 정부 규제로 주택담보대출 문턱이 높아진 만큼 활발한 거래가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경기 침체 가능성'(16%), '대출 금리 부담 영향'(11%) 등도 매매가 하락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했다.
전세 시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8%가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상승 이유로는 '매수 심리 위축에 따른 전세 수요 증가'(35%)와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인한 전세 공급 감소'(24%)가 꼽혔다. 월세 역시 상승 전망(61%)이 하락 전망(5%)을 크게 웃돌았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서하나 기자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빚투도 레버리지" 발언 하루 만에...코스피 4000선도 위태
- "서민 위한다더니 퇴근은 강남으로"...국회의원 부동산 내로남불
- 강남 두 채뿐 아냐...이찬진 금감원장, 상가·토지도 보유
- 부동산 규제에 한 번, 은행 이자에 두 번 운다
- 강남 잡겠다더니...강북이 먼저 얼어붙었다
- '코스피 5000'의 착시… 주가 올라도 경제체력 떨어진다
- 한동훈 "집값 내릴 거라더니 4억 올려 내놨다"...금감원장 직격
- "청년을 서울 밖으로 내쫓나"...장동혁 "10·15는 부동산 테러"
- 고삐 풀린 ‘월세’...수도권 상승률 10년 만에 최고
- 서울시민 49%, "李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 '강남 개포동 갭투자' 이억원 "평생 1가구 1주택 살겠다"
- 李대통령 "한국은 부동산 시한폭탄 위에 앉아 있다"
- 美 실리콘밸리서 자본주의 심장 뉴욕까지...인도계 파워
- 거리에서 대통령에 입맞춤?...멕시코 대통령 성추행 피해 파문
- 'APEC 후폭풍'?...트럼프 제재에 北 "우매한 짓"
- "뇌 실험하자고?"...'그알' 보수 정치인에 제안 논란
- 230억 부정수급, 3분의 1은 못 걷었다...실업급여 '눈먼 돈' 될라
- 비규제지역 집값 들썩...김윤덕 "규제 확대 필요할 수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