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주미대사가 지난달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유엔대표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photo 뉴스1
강경화 주미대사가 지난달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유엔대표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photo 뉴스1

강경화 주미대사는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 문제가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회담에서 명확히 논의됐다며 향후 절차적 이슈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강 대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하마스정상회담 당시 한국의 핵잠 건조 계획에 대해 이 대통령에게 여러 질문을 던지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강 대사는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 한국문화원에서 열린 특파원 간담회에서 "두 차례의 한미 정상회담 현장에 함께하면서 한미 간 협의 타결을 지켜봤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안보 분야에서 핵잠 건조 추진, 한국 국방력 강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한 미국의 지지 확보, 그리고 미 군함의 국내 건조 가능성을 포함한 조선 협력 기반 마련 등을 "전례 없는 굵직한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대미 외교의 최전선에서 힘들게 일궈낸 성과가 차질 없이 이행되도록 대사관의 각 부서 모든 직원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방문 당시 불발된 북미 대화와 관련해 "미국 측과 긴밀히 소통하는 가운데 우리의 대북 정책에 대한 지지를 계속 확보해 나가겠다"며 "우리 정부는 미국과 함께 피스메이커와 페이스메이커로서 남북 대화와 북미 대화의 여건이 성숙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