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및 주택 단지. photo 뉴스1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및 주택 단지. photo 뉴스1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시장에서 재계약 비중이 45%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대출 규제 강화와 매매 시장 위축 속에 수요자들이 '이사'보다 '잔류'를 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0월 16일부터 11월 21일까지 약 37일간 체결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2만여 건 중 44.4%가 갱신 계약이었다. 이는 대책 이전 같은 기간의 42.7%보다 1.7%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특히 기존 '3중 규제' 지역이었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는 갱신 비중이 45.2%에서 49.2%로 상승했다. 나머지 21개 구도 41.8%에서 42.7%로 소폭 늘었다.

갱신 비중 증가의 주요 배경으로는 전세자금 대출 규제 강화가 지목된다. 대책 이후 1주택자에게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되고, 규제 지역 내 3억원 초과 아파트 매입 시 전세자금 대출이 금지되면서 지역·평형 이동 자체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한편, 대책 발표 직후 일시적으로 줄었던 전월세 매물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11월 24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월세 매물은 4만4055건으로, 대책 발표일(10월 15일) 대비 8.3% 증가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