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시장에서 재계약 비중이 45%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대출 규제 강화와 매매 시장 위축 속에 수요자들이 '이사'보다 '잔류'를 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0월 16일부터 11월 21일까지 약 37일간 체결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2만여 건 중 44.4%가 갱신 계약이었다. 이는 대책 이전 같은 기간의 42.7%보다 1.7%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특히 기존 '3중 규제' 지역이었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는 갱신 비중이 45.2%에서 49.2%로 상승했다. 나머지 21개 구도 41.8%에서 42.7%로 소폭 늘었다.
갱신 비중 증가의 주요 배경으로는 전세자금 대출 규제 강화가 지목된다. 대책 이후 1주택자에게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되고, 규제 지역 내 3억원 초과 아파트 매입 시 전세자금 대출이 금지되면서 지역·평형 이동 자체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한편, 대책 발표 직후 일시적으로 줄었던 전월세 매물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11월 24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월세 매물은 4만4055건으로, 대책 발표일(10월 15일) 대비 8.3% 증가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이정현 기자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폭탄주 말다 업혀 나갔다"...윤 전 대통령, 음주 논란 다시 부상
- "김 부장은 집이라도 있지"...서울 사는 무주택 30대는 역대 최대
- "당 미래를 개딸에게?"...정청래 "李대통령도 '1인 1표제' 원했다"
- 李대통령·與 지지율 동반 상승...코스피·환율 흔들려도 '반등'
- 조국 "이제 개헌의 시간...YS·DJ 정신 잇겠다"
- '미아리 텍사스' 해체 시작...마지막 1곳 "끝까지 버틴다"
- 민주당 "내란전담재판부 만들 것...필요하면 국민의힘 해산심판"
- 국힘, 총상금 1억 '여성정책 공모전' 연다...누구나 제안 OK
- [단독] 유승민 딸 유담, 작년에도 인천대 지원했다 탈락
- 98.6% 조국 재선출...진중권 "박정희 때나 보던 장면"
- '국 어게인' 하자마자...조국혁신당 "교섭단체 기준 낮추자"
- 판사에 'XX' 욕설...감치 거부하다 석방된 변호인들, 법원 '다시 감치'
- 외국인 늘려도 지역경제 안 살아났다...내국인 빠진 지역엔 효과 '미미'
- 피해자 261명...최악의 성착취범 김녹완, 1심 무기징역 선고
- '60대 운전자 돌진' 사고...우도서 승합차에 관광객 3명 사망·10명 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