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의 총선 결과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을 두고 여아 간 엇갈린 반응이다. 야권은"불통식 정치로 일관하겠단 독선적 선언"이라면서 혹평하는 반면 정부여당은 "국민 삶을 더 적극적으로 챙기겠다는 다짐"이라며 편들었다.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을 통해 "오늘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메시지는, 조금이라도 국정의 변화를 기대했던 국민을 철저히 외면했다"며 "불통의 국정운영에 대한 반성 대신, 방향은 옳았는데 실적이 좋지 않았다는 변명만 늘어놓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결국 반성은커녕 지금까지처럼 용산 주도의 불통식 정치로 일관하겠다는 독선적 선언"이라며 "국회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하면서 야당을 국정운영 파트너로 인정하라는 총선 민의에 대해서는 한마디 말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또 "대통령께서 이번 총선을 통한 민의를 잘못 이해하셔도 한참 잘못 이해하셨다"며 "윤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국민께 지난 2년의 반성과 앞으로의 나아갈 길을 직접 밝힐 자리를 다시 마련하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야권은 윤 대통령과 야당 대표들과의 회동도 압박하는 모양새다. 한 대변인은 "대통령이 취임하고 야당 대표와 단 한 차례도 만난 적이 없다"며 "지금이라도 야당 대표도 만나고 야당과 국정을 협의하고 도움을 받을 일이 있으면 도움을 받고 협조를 구할 일이 있으면 협조를 구하고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국혁신당도 비판에 가세했다. 김보협 조국혁신당 대변인은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라며 "예전에 탄핵당했던 어떤 대통령도 이 정도는 아니었다. 총선 민심을 제대로 읽은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고 혹평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어려운 국민을 돕고 민생을 챙기는 것이 정부의 존재 이유"라며 "그런 측면에서 이번 총선을 통해 나타난 민심을 우리 모두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다. 총선을 치른 지 6일 만에 나온 대국민 메시지다.

이 같은 윤 대통령의 메시지를 두고 여당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정희용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국민 삶을 더 적극적으로 챙기겠다는 다짐과 도움 되는 정책을 펼치겠다는 각오를 다진 것"이라면서 "국정의 우선순위는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오직 '민생'이라는 제1의 원칙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했다.

또 집권여당으로서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힘을 향해 보여주신 국민의 따끔한 질책, 더 변해야 한다는 엄한 꾸짖음을 겸허히 받들겠다"고 밝혔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