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지난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검찰독재 조기종식, 서울시민과 함께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지난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검찰독재 조기종식, 서울시민과 함께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제22대 총선에서 정권심판론을 앞세워 원내 제3당이 된 조국혁신당이 연일 윤석열 정부에 대한 압박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조국혁신당은 2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대통령실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과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의 통화 내역을 확보했다는 보도와 관련해 "이 비서관을 소환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김보협 대변인은 이날 오전 서면 논평을 내고 "용산 대통령실이 '채 해병 순직 수사 외압 사건'에 관여한 흔적이 드러나고 있다"며 "공수처가 대통령실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이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통화한 내역을 확보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검사 출신인 이시원 비서관은 윤 대통령의 핵심 측근 중에 측근이고, 유재은 관리관은 채 해병 사건의 핵심 피의자"라며 "윤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 수사 외압 사건에 깊이 연루된 자에게 전화해 어떤 지시를 했는지 공수처는 즉각 소환해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용산 대통령실은 도대체 언제까지 침묵할 것인가. 채 해병 사건의 몸통을 가리려 하니, 애꿎은 군인과 공무원들이 말 못하는 고뇌에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숨쉬기도 벅찬 하루하루를 감내하고 있지 않나"라며 "하나의 거짓을 가리기 위해, 수많은 이들이 입을 맞추고 또다른 거짓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질타했다.

또 "이 거대한 거짓의 피라미드에 관련된 자들은 하루라도 빨리 진실을 털어놓아야 죄의 무게가 가벼워질 것"이라며 "그것이 4·10총선에서 확인된 국민의명령"이라고 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는 전날에도 '윤석열 대통령이 실천해야 하는 10가지 사항'을 자신의 SNS 올리며 윤 대통령을 정면 겨냥했다.

이른바 조국 10계명에는 '김건희 특검법' 등 8개 법안이 다시 발의되면 수용하고, 채 상병 사건 특검법 수용, 윤 대통령의 음주 자제, 무속인 및 극우 유튜브 방송 시청 중단 등 그간 윤 대통령을 둘러싼 논란을 담은 내용이 담겨 있다.

조 대표는 앞서 윤 대통령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영수회담을 제안한 것을 두고도 "비록 많이 늦었지만, 윤 대통령과 이 대표가 만나게 돼 다행"이라며 "내가 제안한 만남에 대해서도 수용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원내 제3당의 대표인 나는 언제 어떤 형식이건 윤 대통령을 만날 수 있길 희망한다"며 "공개회동 자리에서 예의를 갖춰 단호하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고 했다. 이에 대통령실은 내부 정비가 우선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그는 이 대표에게는 "영수회담 전 범야권 대표 연석회의를 주도해달라"며 "이 대표가 범야권의 대표로 윤 대통령을 만난다면 민주당이 얻은 175석이 아닌 범야권 192석을 대표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