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의 유명 가방 ‘버킨백’이 중고 거래 시장에서 매장가의 2~3배가 넘는 가격으로 팔리는 가운데, 구매 고객을 일차적으로 결정하는 매장 직원에게 잘 보이기 위해 손님들이 ‘선물 공세’까지 펼쳐져 논란이 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세계에서 가장 탐나는 핸드백의 미친 경제학(The Crazy Economics of the World’s Most Coveted Handbag)”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에르메스 버킨백을 둘러싼 사회 현상을 집중 조명했다.
매체는 “미국 매장에서 버킨백 기본 모델인 검은색 ‘버킨 25’ 백 가격은 세전 1만1400달러(약 1600만원)이다”라며 “하지만 구매자는 이 백을 산 뒤 곧바로 2배가 넘는 2만3000달러(약 3200만원)에 리셀러 업체에 넘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주요 리셀러 업체는 이를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또는 라스베이거스 팝업 매장 등을 통해 3만2000달러(약 4500만원)에 판매한다. 제조 원가가 1000달러(약 140만원)에 불과한 가방이 매장과 손님, 리셀러 업체를 거쳐 순식간에 원가의 32배가 넘는 가격으로 팔린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이 현상은 버킨백의 ‘희소성’으로, 돈이 많아도 담당 점원이 어떤 대기자에게 판매할지 결정하기 때문에 ‘하늘의 별 따기’와 같다는 게 소비자들의 지적이다. 에르메스 매장에서는 손님이 먼저 직원에게 깍듯하게 인사하는 것은 물론, 세계에서 손꼽힐 만한 부자 손님이 직원과 친해지고자 집에서 직접 쿠키를 구워 오는 '선물 공세'까지 펼쳐지고 있다. 비싼 콘서트 티켓, 현금 봉투까지 건네는 일까지 벌어진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서 매장에서 손님과 직원 간 권력 구도도 바뀌었다. 수많은 대기자 명단 중 누구에게 버킨백을 판매할지를 일차적으로 담당 점원이 결정하기 때문에 손님들은 해당 직원과 좋은 관계를 쌓기 위해 애를 쓴다. 에르메스 매장에서는 손님이 먼저 직원에게 깍듯하게 인사하며, 세계에서 손꼽힐 만한 부자 손님이 직원과 친해지고자 집에서 직접 쿠키를 구워 오는 선물 공세도 펼친다. 비싼 콘서트 티켓이나 현금 봉투를 건네는 이들도 있다.
명품 가방 리셀러 업체 ‘매디슨 애비뉴 쿠튀르’ 창업자 주디 테일러는 “버킨백을 정식 매장에서 빨리 구매하는 방법의 하나는 에르메스의 값비싼 보석이나 가구 등에 막대한 돈을 지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버킨백 구매 자격을 갖추기까지 들어가는 비용을 고려하면 가방 구매 후 곧바로 리셀러에 높은 값에 되파는 게 반드시 남는 장사는 아닐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미 ‘부의 상징’이 된 버킨백은 유명인사들이 종종 들고 있는 모습이 노출되면서 그 이미지가 더 강화되고 있다. 매체는 “자신의 부를 과시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지위를 상징하기에 이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고 전했다.
한편, 버킨백은 미국 유명 연예인 킴 카다시안이 다양한 버킨백을 수집하는 모습이 화제가 되었고,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도 버킨백을 자주 들고 포착되어 눈길을 끌었다. 이 외에도 다수의 유명 인사들이 버킨백을 소유하고 있는 모습이 공개되면서 버킨백을 구매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과 이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