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5일 도쿄에서 2차 세계대전 패전 79주년을 맞아 치도리가후치 전몰자 국립묘원을 방문했다. photo AP뉴시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5일 도쿄에서 2차 세계대전 패전 79주년을 맞아 치도리가후치 전몰자 국립묘원을 방문했다. photo AP뉴시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일본에서는 패전일(종전기념일)인 15일 과거 침략과 식민지배 역사에 대한 인정이나 반성 없이 "전쟁의 참화를 다시 되풀이하지 않겠다"고만 밝혔다. 일왕의 ‘반성’ 언급과 대조적이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도쿄 일본부도칸에서 열린 전국전몰자 추도식 기념사에서 "이 결연한 맹세를 세대를 넘어 계승, 관철해나가겠다"며 "아직도 비참한 싸움이 끊이지 않는 세계에서 우리나라(일본)는 법의 지배에 기초한 자유롭고 열린 국제질서의 유지·강화를 추진할 것"고 밝혔다.

그는 "전후 우리나라는 일관되게 평화국가로서 행보를 이어왔다"며 "역사의 교훈을 깊이 가슴에 새기며 세계 평화와 번영에 힘써왔다"고 주장했다.

기시다 총리는 2021년 10월 취임 이후 3년째 패전일 행사에 참석했지만 단 한 번도 침략 역사에 대한 반성을 언급하지 않았다. 과거 일본 총리들은 패전일 행사에서 침략 전쟁으로 인한 타 국가의 피해를 언급하고 반성의 뜻을 표명해왔다. 하지만 2012년 12월 아베 신조 총리 재집권 이후 아베 전 총리와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 기시다 총리에 이르기까지 반성에 대한 언급이 사라졌다.

반면 나루히토 일왕은 이날 기념사에서 지난해와 똑같이 '반성'을 언급했다. 일왕은 "과거를 돌아보고, 깊은 반성 위에 서서 다시 전쟁의 참화가 되풀이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전화에 쓰러진 사람들에 대해 온 국민과 함께 진심으로 추모의 뜻을 표하고 세계 평화와 우리나라의 발전을 기원한다"고 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전국전몰자 추도식 참석에 앞서 태평양전쟁 A급 전범들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에 ‘마사카키’ 공물을 봉납했다. 마사카키는 신사 제단에 바치는 비쭈기 화분을 말한다. 기시다 총리는 2021년 10월 총리 취임 후 직접 참배 대신 공물 봉납으로 대신해오고 있다.

하지만 주요 각료와 정치인들은 야스쿠니신사를 직접 참배했다. 기하라 미노루 방위상과 극우 성향의 신도 요시타카 경제재생담당상, 다카이치 사나에 경제안보담당상 등이 야스쿠니신사를 찾았다. 고이즈미 신지로 전 환경상과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도 직접 참배했다. 다카이치 경제안보담당상과 고이즈미 전 환경상, 고바야시 전 경제안보담당상 등은 차기 총리 후보로도 꼽힌다.

한편 기시다 총리는 전날 자민당 총재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며 총리 재임 의사를 포기하고 3년 임기를 마무리하게 됐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