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과거 위안부 합의, 징용공 배상 문제에 대해 "국가로서 약속이므로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 문재인 정부 출범 초 위안부 합의와 관련한 문재인 전 대통령의 오락가락하는 입장으로 한일 관계가 최악의 국면으로 빠져든 것을 반면교사 삼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지난 6월 취임 후 첫 일본 방문을 앞둔 이 대통령은 21일 보도된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단독 인터뷰에서 "한국 국민으로서는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전 정권의 합의"라면서도 이같이 밝혔다. 단 "정책 일관성과 국가의 대외 신뢰를 생각하는 한편, 국민과 피해자·유족 입장도 진지하게 생각하는 두 가지 책임을 동시에 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박근혜 정부는 2015년 일본 아베 신조 정권과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 불가역적 해결'에 합의했고, 윤석열 정부는 지난 2023년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소송 해결책으로 한국 정부 산하 재단이 일본 피고 기업 대신 배상금 등을 지급하는 '제3자 변제안'를 대안으로 제시한 바 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 방문에 앞서 오는 23일부터 이틀간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진행한다. 한국 대통령이 일본을 찾는 것은 지난 2023년 5월 윤석열 전 대통령이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 히로시마를 방문한 이후 약 2년 만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이소진 기자
다른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