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원이 지난 9월 KT 일부 스마트폰에서 문자 메시지 암호화가 해제되는 현상을 직접 확인한 뒤 이를 KT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공식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국정원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정원은 "KT의 일부 스마트폰 기종에서 문자 암호화가 해제될 수 있다"는 제보를 입수했다. 문자 통신이 '종단 암호화(End-to-End Encryption)' 방식으로 보호되지 않아 중간 서버에서 복호화될 수 있는 취약점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이통사들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권고에 따라 송신부터 수신까지 중간 서버가 내용을 복기할 수 없도록 종단 암호화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정원의 검증 결과, KT 일부 단말기에서는 이 보호 장치가 무력화된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해커가 메시지를 탈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그러나 국정원은 암호화 해제가 발생한 구체적 기종이나 경위, 실제 정보 유출 여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정부·민간 합동으로 구성된 KT 해킹 조사단은 국정원의 통보 내용을 토대로 "일부 스마트폰만의 문제가 아닌 KT 전체 가입자 망에서도 동일 현상이 재현될 수 있는지"를 추가로 조사 중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이채은 기자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고민정, 정성호에 "흔들어도 절대로 자리에서 내려오지 말라"
- 2026 수능 오늘 시행...'황금돼지띠' 영향으로 응시자 55만 명
- "검찰 살리려 항소 포기했다"던 노만석, 닷새 만에 자리 내려놨다
- "새 아파트 찾기 힘드네"...수도권 분양 절벽에 공급 경고등
- 절대평가의 역설…변별력을 잃은 시험의 풍선효과
- '섬망 증세' 조두순, 아내까지 떠나고 홀로 남았다
- 조국이 소환한 36년 전 황교안 발언, '구치소는 좀 추워야 한다?'
- 올해도 '킬러 문항' 없다...수능 "사교육 유리한 문항 배제"
- 서울 서대문구, 李대통령 '안동' 생가 복원 건의...그 이유는?
- 조갑제 "항소포기 파문, 조국 사태급 민심 폭발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