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연방정부 재가동을 위한 임시 예산안 서명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연방정부 재가동을 위한 임시 예산안 서명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가가 설립한 암호화폐 기업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이 북한 해커와 연계된 인물과 거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북한 전문매체 NK뉴스는 WLF가 북한 해커와 활발히 거래한 전력이 있는 범죄자에게 자사가 발행한 암호화폐를 판매한 사실과 관련해, 미 상원의원 2명이 조사를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엘리자베스 워런, 잭 리드 상원의원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팸 본디 법무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트럼프 가족 소유의 WLF가 북한 등 불법 행위자와 밀접한 구매자에게 토큰을 판매했다는 보도에 대한 조사를 요구했다. 두 의원은 “WLF는 암호화폐 판매를 통해 미국의 적들과 명백한 연결고리가 있는 인물들로부터 돈을 받았고, 회사 운영 정책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직위까지 제공함으로써 국가안보 위험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의원들은 미국 비영리 감시단체 ‘어카운터블 US’가 9월 발간한 보고서를 근거로 들었다. 보고서에는 WLF가 발행한 토큰이 북한 해커 조직, 미국 제재 대상 러시아 기관, 이란계 가상자산 거래소, 자금세탁 플랫폼 ‘토네이도 캐시’ 등 여러 의심 단체에 판매됐다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보고서에 따르면 WLF는 올해 1월 북한 해커 조직 및 제재 대상 러시아 기관과 연루된 지갑을 통해 약 1만달러 규모의 토큰을 거래했으며, 두 의원은 이를 두고 “미국의 적대국에 회사 거버넌스에 직·간접적 영향력을 행사할 기회를 준 것”이라며 신속한 조사를 촉구했다.

한편 WLF는 트럼프가 명예 공동설립자로 이름을 올렸으며, 그의 아들 에릭·도널드 주니어·배런 트럼프가 공동설립자로 참여하고 있다. 트럼프 가문 소유 법인은 WLF 지분의 약 60%를 보유하고 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