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게티이미지코리아
photo 게티이미지코리아

우리가 먹는 것이 우리를 구성한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음식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한데, 이는 얼굴 변화에도 적용된다. 우리가 먹는 음식재료들이 얼굴 근육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딱딱한 것을 많이 먹는 사람은 턱 근육이 발달하고, 부드러운 것을 자주 먹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덜 발달하는 식이다. 이와 관련해 최근 아침에 빵을 먹으면 못생겨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최근 게재됐다.

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프랑스 몽펠리에 대학 연구진은 '정제 탄수화물이 풍부한 아침 식사를 한 사람들이 비정제 탄수화물로 하루를 시작한 사람들보다 덜 매력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30세 남성 52명과 여성 52명을 모집해 정제 탄수화물 또는 비정제 탄수화물이 풍부한 500칼로리 아침 식사를 무작위 배정했다. 정제 탄수화물로에는 밀가루 만든 프렌치 바게트, 잼, 사과 또는 오렌지 주스, 설탕이 든 차 또는 커피가 포함됐다.

반면, 비정제 탄수화물로는 버터와 치즈가 들어간 통밀빵, 오렌지 또는 사과, 설탕이 들어 있지 않은 차 또는 커피 등이 제공됐다.

연구팀은 식사 전후 지원자들의 혈당 수치를 측정한 다음, 통제된 조명 아래 지원자들의 얼굴 사진을 촬영했는데, 이 사진을 평가자 그룹에 전달해 개인의 나이, 남성 또는 여성 여부, 매력도 등을 평가하도록 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이 섭취한 아침 식사는 남녀 모두 매력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제 탄수화물을 섭취한 사람들의 얼굴 매력도가 비정제 탄수화물을 섭취한 사람들의 얼굴 매력도보다 낮았다.

연구팀은 “식단 선택이 건강뿐 아니라 얼굴 매력처럼 사회적으로 중요한 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며 “정제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면 혈당이 높아져 인슐린이 분비돼 외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체내 인슐린의 분비가 증가하면 성호르몬의 전구체 합성에 영향을 미쳐 매력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뜻이다. 또 정제 탄수화물을 만성적으로 섭취하면 고혈당증이 생겨 결과적으로 피부 노화가 생길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비드 페렛 세인트 앤드류스 대학 심리학 교수는 “식단이 매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며 “과일과 채소는 피부의 카로티노이드라는 식물 색소를 증가시켜 매력을 향상시키는 반면, 고당분 식단은 피부를 노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