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지사가 지난 3월 5일 오전 경남 김해 봉하마을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찾아 참배하고 너럭바위를 어루만지고 있다. photo 뉴시스
김동연 경기지사가 지난 3월 5일 오전 경남 김해 봉하마을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찾아 참배하고 너럭바위를 어루만지고 있다. photo 뉴시스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추진해 온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경기 분도시 강원서도 전락' 발언으로 난감한 입장에 처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김 지사가 추진해오던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경기 분도론'으로 받아친 상황에서 정작 소속 정당인 민주당의 지원 사격은 기대하기 어렵게 된 모습이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지난 23일 경기 분도에 대한 질문에 “현재 상태로 재정에 대한 대책 없이 분도를 즉시 시행하면 ‘강원서도’로 전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에 여당인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표를 겨냥해 “강원도를 ‘전락’의 대상으로 지칭한 데 대해 사죄해야 한다”며 여론전을 펼치는 한편, 경기 분도에 대한 민주당의 입장을 명확히 하라고 밝혔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도 25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에서 개최한 서울 현장 중앙선거대책위 회의에서 “경기 분도에 대한 민주당의 갈팡질팡 오락가락 행보가 도를 넘었다”며 “저희는 서울 편입과 경기 분도 모두 원샷 입법으로 통과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동훈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은 강원도 비하 논란이 제기된 이재명 대표의 ‘강원 서도’ 발언을 지적하는 한편, 김동연 경기지사가 추진해 온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정책을 '경기 분도' 프레임으로 전환해 여권으로 가져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한 위원장은 지난 1월 31일 여당의 ‘메가시티론’에 대한 야당의 대응 논리이자, 김 지사의 핵심 공약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오히려 여당이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발언에 김동연 지사는 “선거를 앞둔 얄팍한 정치적 계산”이라고 직격했다. 경기도가 지난해 9월 행정안전부에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위한 주민투표 실시를 공식 요청했지만, 행안부가 가부 결정을 내리지 않은 상황에서 한 위원장이 ‘경기 분도’를 들고 나왔기 때문이다. 

앞서 김동연 지사는 지난해 12월 12일에는 행안부의 주민투표 보류와 관계없이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추진하겠다며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국회토론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여당 의원들도 다수 참여했다. 경기도의회에서는 이미 여야 만장일치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에 대한 결의안이 통과된 상태다.  

한편, '강원서도' 논란에 민주당은 지난 24일 “(분도에) 반대한다는 의사를 표시한 적 없고, 당론도 결정되지 않았다”며 “경기 분도와 김포 (서울 편입) 문제에 대해 입장을 정리해 적절한 시기에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의 발언이 자칫 김동연 지사의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을 반대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어 모호한 입장을 취한 셈이다. 

경기 분도를 둘러싼 여야의 논쟁에 김동연 지사 측은 공식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지만, 여야 논쟁과 관계없이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추진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김동연 지사가 22대 국회가 개원하면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가 '1호 법안'으로 제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고 전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