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3주 연속 하락해 재작년 8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이날 오후 예정된 영수회담으로 지지율 반등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윤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후 2시 용산 대통령실에서 차담회 형식으로 회담을 가진다.
29일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 평가는 30.2%로 집계됐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 의뢰로 지난 22∼26일 전국 18살 이상 유권자 25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다.
윤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4월 1주 차 조사에서 37.3%를 기록한 뒤 2주 차 32.6%, 3주 차 32.3%로 이번 조사까지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결과는 지난 2022년 8월 1주 차 29.3%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부정 평가는 지난 조사보다 2.6%p 오른 66.9%를 기록했으며, ‘잘 모름’은 2.8%다.
이념 성향별로 살펴보면 긍정 평가는 중도층과 진보층에서 각각 2.3%p, 1.8%p 하락했다. 권역별로는 광주·전라에서 2.2%p 상승한 반면, 서울과 부산·울산·경남에서 각각 4.2%p씩 하락했다. 인천·경기와 대구‧경북에서도 각각 3.0%p, 2.8%p 씩 하락했다.
이에 29일 예정된 영수회담 이후 윤 대통령 지지율이 반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윤 대통령은 전격적인 영수회담 제안으로 ‘불통’ 이미지에서 벗어나고, 최근 급락한 지지율을 반전시킬 계기를 마련했다.
그러나 이번 영수회담이 성과를 얻고, 윤 대통령 지지율 반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 보는 시각이 많지 않다. 전례만 살펴봐도 성공적으로 평가받는 영수회담은 손에 꼽는 반면, 실패한 것으로 평가받는 영수회담이 더 많다. 영수회담이 대부분 양측의 입장차가 가장 큰 상황에서 진행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는 영수회담은 의약분업 사태를 봉합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총재 간 회동이다. 당시 정부가 의약분업을 추진해 의사들이 반발했으나, 영수회담 이후 약사의 임의조제를 금지하는 약사법 개정에 합의하고 의약분업 사태를 봉합할 수 있었다.
반면 2005년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대표의 영수회담은 실패 사례로 평가받는다. 두 사람의 만남은 노 전 대통령의 ‘대연정’을 박근혜 당시 대표가 단박에 거절하면서 성과 없이 끝났고, 그 결과 두 사람 모두 지지율이 떨어졌다. 2018년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당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영수회담을 가졌지만, 회담 후 ‘각자 할 말만 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후 자유한국당 지지율은 하락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中 출장 홍준표, 푸바오 묻던 지지자들에게 “대구 데려올 수도?”
- 전여옥, 민희진 소환 "국힘은 투지 보고 배워라"
- 이준석 "박 대령 억울함 외면 국힘, 어디서부터 잘못됐나?"
- 윤상현에 1025표차 진 남영희, 선거무효소송 제기한다
- 한동훈이 직면한 4가지 난관
- “7천원짜리 산채비빔밥 대박” 칭찬 쏟아진 지역축제 어디?
- 황우여, 국힘 비대위원장 지명...'올드보이' 귀환 두고 당내 평가는?
- 민주, 與 황우여 비대위원장 지명에 ‘양두구육 시즌2’
- 윤상현, 이철규 원내대표설 반발 "총선 패배 벌 받을 분"
- '與 3선' 조해진, '이철규 단독 출마설'에 “퇴행적 사태”
- 황교안 "국민의힘도 선거무효 소송 제기해야"... 민주 남영희에 맞불
- "소통 물꼬 터 VS 변화 없어"...尹李 첫 회동에 엇갈린 여야 반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