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photo 뉴시스 / 편집 주간조선
왼쪽부터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photo 뉴시스 / 편집 주간조선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이혼 항소심 판결에 외신도 주목했다. SK그룹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이나 헤지펀드 위협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4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슐리 렌(Shuli Ren) 블룸버그 아시아경제담당 칼럼니스트는 ‘10억달러 규모의 한국 이혼, 수치심에 실패했을 때 작동하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게재했다.

렌은 “이혼 소송 해결을 위해 지분을 일부 양도하거나 매각해야 한다면 최 회장 일가의 지분율은 20%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며 “적대적 인수합병이나 헤지펀드 행동주의 캠페인의 위협은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서울고법 가사2부는 지난달 30일 최 회장과 노소영 관장의 이혼 소송에서 “원고(최 회장)가 피고(노 관장)에게 위자료 20억원, 재산분할로 1조3808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 최 회장의 현금성 자산은 2000억∼3000억원 수준으로 파악된다. 자산이 SK㈜ 지분(지분율 17.73%)이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2심 판결 확정시 지분 매각이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렌은 “SK의 밸류에이션(평가 가치)이 여전히 낮다”며 “판결로 인한 강력한 랠리 이후에도 애널리스트들이 부여한 평균 가치보다 20% 이상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러한 대기업 할인은 벤치마크인 코스피 지수가 사랑받지 못하는 이유”라며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알려진 코스피는 현재 닛케이225(2배), MSCI 차이나(1.3배)에 비해 장부가 이하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적어도 10년 동안 강력한 가족 경영 대기업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해 왔지만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며 “이번 이혼 소송이 그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재벌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한국의 상속세를 내지 않기 위해 보유 주식의 주가를 싸게 유지하는 데 만족하고 있다”며 “실제 부를 감추기 위해 미로처럼 얽힌 지주회사를 상장해 전체 주식 시장을 희석시키고 있다”고 했다.

렌은 “SK 이혼 사건이 흥미로운 것은 재벌가 내부에서 변화하고 있고 가부장이 예전만큼 지배적이지 않다는 것을 확실하게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선진국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재벌도 경영권 승계 및 변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인수 제안이 들어오면 소액 주주에게 호소하고 달래야 한다”고 말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