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준표 대구시장이 최근 정치권에서 불거진 ‘건국절 논란’에 대해 “우리 헌법에 상해 임시정부를 대한민국 법통으로 삼고 있으니, 건국이 1919년 4월 11일(상해 임시정부 수립일)임은 자명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건국일이 해방 후인 1948년 8월 15일이라고 주장하는 뉴라이트의 주장과 배치된다.
홍 시장은 18일 밤 자신의 페이스북에 “1948년 8월15일 이전에도 대한민국은 망명정부로 임시정부가 있었고, 대한민국은 그때 건국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상해 임시정부 법통을 이어받아 해방 후 영토를 회복해서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정부를 다시 만들었다고 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건국절 논란으로 혼란스럽기 그지없다”며 “무슨 이유로 뜬금없이 건국절 논란을 일으켜서 국론분열로 나라가 소란스러운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홍 시장은 또 건국절 논란은 해방 직후 미군정이 임시정부를 인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해방 후, 미군정 하에서 임시정부 요인들이 귀국해서 정부를 다시 만들었으면 논란이 없었을 것”이라며 “당시 좌우익 혼란상에서 미군정이 임시정부를 인정하지 않는 바람에 문제가 생긴 것”이라고 했다.
홍 시장은 임시정부에 국가의 기본 요소가 대부분 갖춰져 있었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나라의 기본 요소는 주권, 영토, 국민이 있어야 한다”며 “상해 임시정부는 망명정부이지만 우리 국민이 세웠고 주권도 갖췄고 영토만 일제에 침탈된 것 아니냐. 그래서 영토 회복을 위해 우리 선열들이 몸 바쳐 독립운동을 했던 것 아니던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티베트도 망명정부가 있고, 팔레스타인도 망명정부가 있는데 상해 임시정부를 망명정부로 보는 건 당연한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정봉주 탈락'에 김민석·김병주 "명팔이 발언 때문"
- "외교 상대국 마음까지 이해해야 하나" 논란 커지는 김태효 발언
- 日 고교 '꿈의 무대' 고시엔, '동해 바다' 한국어 교가 교토국제고 4강 도전
- 이재명, 김대중 이후 첫 민주당 대표 연임... 득표율은 역대 최고
- 이재명 뒷담화 논란 극복 못한 정봉주 최고위원 탈락
- '음주뺑소니' 입법 추진에 김호중 팬들 "인격살인자 되시는 것"
- 조국 "이재명과 나 따따부따해도 흔들리지 않아"
- 정우택 전 국회부의장, '돈봉투 수수' 혐의로 구속기로
- 尹 57년 지기 이철우 "尹 주변에 이상한 역사의식 부추기는 사람들 있어"
- 박찬대 "한동훈 토달지 말고 채상병 특검 발의...갈팡질팡 안쓰럽다"
- 진중권 "尹, 눈에 헛것이 보이는 걸 보니 심히 우려스러운 상태"
- 서경덕 교수 '살해협박' 출처 中도 日도 아니었다...경찰 조사 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