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군을 상대로 한 딥페이크 사진이 유포된 단체대화방의 공지사항. photo 온라인커뮤니티 켑처
여군을 상대로 한 딥페이크 사진이 유포된 단체대화방의 공지사항. photo 온라인커뮤니티 켑처

수도권 대학교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합성 사진을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에서 공유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이러한 가운데 현역 군인들이 여군을 상대로 한 유사 대화방에 대한 제보도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26일 여러 온라인커뮤니티에 따르면 여군을 상대로 한 딥페이크 대화방이 공유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대화방 참가자는 924명에 달한다. 이들은 여군을 '군수품'으로 폄훼하며 여군에 대한 비하 발언도 서슴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대화방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군수품'으로 만들고 싶은 여군의 군복 사진뿐 아니라 전화번호와 소속, 계급과 나이 등 개인정보를 운영자에게 제출해 자신이 현역 군인임을 인증해야 한다. 혹은 합성장인, 또는 관리자가 지정한 여군에게 '능욕 메시지'를 보내고 반응을 인증 사진을 보내야 가입이 허용됐다.

또 함께 공유되는 이미지에는 딥페이크 합성물뿐 아니라 ‘더이상 여군들을 용서할 수 없다’며 ‘모두 벗겨서 망가뜨릴 것’이라는 설명도 남겼다. ‘여러분이 같이 근무했던 중대장, 소대장, 부소대장의 알몸이 궁금하지 않냐’는 등의 모욕적인 말들도 적혀있다.

특히 모 대학교 사건으로 논란이 커지자 이들은 ‘당분간 합성장인 혹은 관리자가 지정한 '능욕 메시지' 보내기 미션을 수행한 사람 외에는 받지 않겠다’고 추가 공지를 내걸었다.

앞서 지난 19일 인천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대학교 여학생들의 얼굴을 선정적인 사진에 합성한 딥페이크물이 텔레그램 단체방에서 공유된다는 신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경찰은 단체방 참여자들을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등 혐의를 잡아 수사하고 있다.

지난 2020년부터 운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방에선 피해 여성들의 얼굴에 나체를 합성한 딥페이크물 등이 공유됐다고 한다. 합성 사진 외에 연락처나 주소 등 정보나 합성된 음성인 딥보이스 파일이 함께 올라오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딥페이크 피해자 명단'이라는 이름으로 학교, 지역 등도 공유됨에 따라 논란은 더욱 확산하고 있다.

딥페이크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를 이용한 범죄도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실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딥페이크 범죄 현황'에 따르면 허위 영상물 관련 범죄는 2021년 156건에서 2022년 160건, 2023년 180건으로 증가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