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권의 이른바 ‘이자놀이’를 정면 비판했지만, 정부의 강도 높은 대출 규제가 되레 ‘예대금리차’를 키우는 역설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 대출 문턱을 높인 정책 기조 속에서 은행들이 고금리 구조를 유지하며, 금융당국이 의도치 않게 ‘이자장사’를 부추기는 구조가 고착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무리한 시장개입이 오히려 시장왜곡을 부추긴다는 평가다.
8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예대금리차(정책서민금융 상품 제외)는 6월 말 기준 평균 1.42%였다. 지난해 6월(0.51%)보다 약 3배 커진 수치로,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22년 7월 이후 지난 3월(1.47%)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다.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7월 0.43%로 최저점을 찍었지만 10월부터 1%대를 회복했고, 올해 들어 1.5%에 육박하는 수준까지 가파르게 올랐다. 이는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예금금리는 빠르게 떨어진 반면, 대출금리는 하락 속도가 더뎌진 결과다.
배경에는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자산에 상관없이 일괄적으로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가 있다. 금융권에서는 “대출 문턱을 높이라는 정부의 요구와 금리를 내리라는 요청은 현실적으로 양립하기 어렵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이정현 기자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곽규택 "대북확성기 철거…김정은 웃을 일만 하는 국방"
- '위안부 후원금 횡령' 윤미향, 광복절 특사 대상에
- 강릉, 허리시술 뒤 '집단 이상 증상' 8명→22명으로 늘어
- 조국 사면 촉구 민형배 "정치검찰 만행 정치적으로 풀어야"
- 통일교 총재 한학자 비서실장, 김건희 특검 출석
- '체포거부' 尹에...조경태 "비루하기 짝이 없어, 더럽고 추악"
- 황혼기 레전드의 미국행엔 다 이유가 있다
- 광복 80주년, 어둠을 밝힌 우리의 태극기
- 대북 민간방송, 트럼프發 예산 삭감에 존폐 위기
- 홍태화 "전작권 전환, 감성 아닌 실리의 문제"
- 40세 넘은 당신, 암 예방을 위해 가져야 할 생활습관
- 아침엔 피하는 것이 좋은 혈당 스파이크 부르는 식사 7가지
- 정성장 “방위비 증액 대가로 핵잠재력 확보해야”
- 단통법 폐지에도 썰렁한 ‘성지’…출혈경쟁에 지갑닫은 통신사
- 신냉전 시대 핵개발 경쟁, 美 본토가 위험하다
- 첫 한미 정상회담, 행복회로 꺼야 현실이 보인다
- 인사담당자 8000명 해고 후 AI챗봇 도입한 IBM
- ‘팡팡’… 밴쿠버 밤하늘 위 불꽃 튀기는 경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