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4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북한의 2국가론과 남북기본협정 추진 방향' 세미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photo 뉴스1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4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북한의 2국가론과 남북기본협정 추진 방향' 세미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photo 뉴스1

독일을 방문 중인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각) 북한을 두고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3대 국가'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정동영 장관은 이날 베를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은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3대 국가의 하나가 돼버렸다"며 "냉정하게 인정할 건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스스로 전략국가라고 말하는데 전략적 위치가 달라졌다"며 "7년 전 위치와는 다르고, 일단 그 현실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18년 싱가포르 1차 북미 정상회담 당시보다 위상이 올라간 점을 인정하자는 취지다.

정 장관은 2019년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 당시에는 "북한이 미국에 매달리는 입장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직후 리용호 당시 북한 외무상이 '미국이 천재일우의 기회를 놓쳤다'고 말한 것을 두고는 "그 말이 불행하게도 맞았다"며 "스몰딜이 성사됐더라면 핵문제 전개 과정은 많이 달랐을 것"이라고 정 장관은 말했다.

정동영 장관은 "노동당 창건 80년 메시지의 절반 가까이 대미, 대남 메시지"라며 "그것으로 미뤄보면 북미 양쪽 지도자 모두 지금 서로 만나고 싶다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관측했다. 또 "베트남의 길을 가고 싶다는 김정은 위원장의 말이 진정이라면 남북협력 밖에는 길이 없다"고 단언했다. 

한편 정동영 장관은 국제한반도포럼과 독일 통일기념일 행사 등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 28일부터 내달 4일까지 독일과 벨기에를 방문 중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