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과일값이 41.2% 올라 지난 1991년 9월(43.9%) 이후 32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다. photo 뉴시스
지난달 과일값이 41.2% 올라 지난 1991년 9월(43.9%) 이후 32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다. photo 뉴시스

4월 총선을 한 달여 앞둔 시점에서 변수가 생겼다. 물가가 다시 오름세다. 보통 물가는 여당에 부정적 신호다. 팍팍해진 삶을 겪고 있는 서민 표심이 총선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다.

지난 3월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한 달 만에 다시 3%대가 됐다. 1년 전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 달 2%대를 기록해 안정을 되찾나 했더니 다시 3%대로 돌아왔다.

특히 장보기가 무서울 정도로 과일값은 살인적이다. 신선과일 물가는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41.2%나 올랐다. 1991년 9월(43.3%) 이후 32년 5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귤 가격은 1년 전과 비교해 78.1%, 사과는 71.0%가 뛰었다. 마트에 가면 사과 1개가 5000원에 육박하는 장면은 새삼스럽지 않다. 

물가가 총선 결과와 얼마나 긴밀하게 얽혀있는 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여론은 물가를 예민하게 받아들이고 통치 행위를 평가하는 잣대로 삼는다. 총선 정국을 판단하는 척도 중 하나는 대통령 직무평가를 국민들이 어떻게 보느냐다. 한국갤럽이 지난 2월27~29일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직무평가에 부정적인 이유로 가장 많이 꼽힌 게 ‘경제·민생·물가’(17%)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명박 정부 때도 총선 앞두고 물가 단속 나서

윤석열 정부도 물가 움직임에 민감하다. 올해 상반기 공공요금을 동결하는 쪽으로 가겠다는 기조도 '총선용'이라는 의심을 받았다. 한전의 누적 영업적자가 매년 40조원 이상 발생하는 현실에서 정부는 일단 서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어야 한다는 이유를 앞세웠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민주당이 검찰권력 심판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게 실수라고 본다. 차라리 물가 등을 포함한 '경제'를 심판하자는 주장이 더 먹힐 뻔 했다는 이야기다.

물가는 역대 정부에서도 선거를 앞두고 예민하게 받아들인 지점이다. 이번 총선 구도와 가장 비슷한 때가 2012년 19대 총선이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집권 초반부터 높은 물가상승률을 고민해야 했다. 2010년 2%대를 기록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1년 11~12월 4%대로 뛰어올랐다.

당시 정부는 '물가 관리 책임실명제'까지 내세우며 단속에 나섰고 총선을 한 달 앞둔 2012년 3월 물가상승률은 2.7%로 떨어졌다. 19대 총선에서 여당인 새누리당은 152석을 확보하며 승리했다. 정치권이 선거를 앞두고 물가를 받아들이는 방식은 이렇게 예민하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