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홍익표 원내대표 등 최고위원들이 4월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홍익표 원내대표 등 최고위원들이 4월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photo 뉴시스

4‧10 총선 승리 후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비명(비이재명)’계의 목소리가 더 이상 들리지 않는다. 당장 조기 과열된 22대 국회의장 선거부터 그렇다. 전반기 국회의장을 노리는 다선 중진들은 국회의장의 '중립'을 묻는 질문에 오히려 '선명성'을 내세우며 자신이 새로운 의장에 어울린다고 강조한다. 

국회의장 경선은 '친명' 경쟁의 양상이다. 추미애 당선인은 '혁신 의장'을 내세우며 "국회의장이 중립은 아니다"라고 선언했다. 조정식 의원은 라디오에 출연해 "명심(明心)은 당연히 저 아니겠나"고 말했다. "민주당 출신으로서 제대로 당의 뜻을 반영했느냐라는 당원과 지지자들의 불만도 있었다"며 전임 의장들을 겨냥한 발언도 했다.

정성호 의원도 한 인터뷰에서 "(여야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을 때는 민주주의 원리인 다수결의 원리에 따라 다수당의 주장대로 갈 수밖에 없지 않느냐"고 말하며 "합의로 못 가게 됐을 때는 국회의장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 협의만 강조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국회의장 출마를 선언한 우원식 의원도 출마선언문에서 "국회법이 규정한 중립의 협소함도 넘어서겠다"고 했다. "중립을 지키겠다"고 말해오던 이전 국회의장과는 전혀 다른 의장상을 후보들은 내세운다.

이미 민주당의 원내대표는 '찐명'이라고 불리는 박찬대 의원이 유력하다. 일각에서는 교통정리를 통한 추대설까지 나온다. 국회의장도 원내대표도, 이미 후보 단계에서부터 친명이 아닌 사람은 등장하지 않거나 등장을 꺼려하는 구도다. 친명간의 선명성 경쟁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생긴 일이다.

당원 중심 정당 강조하는 이 대표

이런 분위기는 앞으로 더 짙어질 수 있다. 최근 이재명 대표의 발언을 보면 당원권 확대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어서다. 이 대표는 지난 4월 19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당원과의 만남 자리에서 "민주당이 당원 중심의 정당으로 질적으로 전환됐다"며 당원들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서 말하는 '당원 중심 정당'은 대의원 제도와 권리 당원 간 표의 등가성을 해소소하는 게 핵심 과제다. 이미 지난해 민주당 중앙위원회에서는 권리당원 대 대의원 표 반영 비율을 '60대1'에서 '20대1 미만'으로 조정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한 바 있다. 당시 비명계 의원들은 개정에 강력하게 반발했지만 친명계 의원들은 "당원들의 의사가 많이 반영되는 당원 중심 전당으로 가야한다"며 개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당원과의 만남 자리에서도 이 대표는 대의원제와 관련해 "저도 1인 1표로 가기를 바랐고 당 지도부가 대체로 동의했는데 이미 20대 1 미만으로 전당대회준비위원회에서 하기로 했는데 또 고치긴 그렇다"면서도 "장기적으론 계속 줄여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원의 권한이 강화될수록 친명계의 당 장악력은 강해진다는 게 정설이다. 거꾸로 말하면 비명계가 설 자리는 지금도 좁지만 앞으로 더욱 좁아질 수 있다는 뜻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