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분기(4~6월) 가계대출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 2월 이후 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을 구입하는 이른바 ‘영끌’ 열기가 이어지는 등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52조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2년 4분기(10~12월) 관련 통계를 공표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대부업체, 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다. 지난해 1분기 3조1000억 원 감소했던 가계신용은 한 분기 만에 반등한 뒤 다섯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카드 대금인 판매신용을 뺀 가계부채는 총 1832조6000억 원으로 1분기 말(1809조5000억 원)보다 23조1000억 원 증가했다. 가계대출 중에선 주택담보대출이 14조9000억 원이나 증가했다. 신용대출과 증권사 신용공여 등을 포함한 기타대출도 8조2000억 원 늘었다. 빚을 내 부동산, 주식 등에 투자한 사례가 늘어났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6.27 부동산 대책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안정되는 모습이지만, 서울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 상승세는 계속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서하나 기자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가계대출 더 막아라”...대출 문 닫는 은행
- 서울 아파트 '9억 이하'가 절반... 대출 막으니 ‘양극화’
- 美 기준금리 동결에 복잡해진 한은…'집값·수출' 관건
- 국방부, '12·3 비상계엄' 출동·관여 부대 자체 조사 착수
- 안철수 "보수정당 대선후보 욕보이는 전한길...전당대회 출입 구걸"
- 증가하는 중장년 1인 가구, 공동체 기댈 창구 늘려야
- 정청래 "청도 무궁화호 열차사고, 제가 보기엔 완벽한 인재"
- 비트코인, 11만3000달러선 후퇴…금리 인하 기대 떨어지며 낙폭 확대
- 김여정 "이재명, 역사 바꿀 위인 아냐…한국, 외교상대 못돼"
- 홍준표 "한덕수, 나라 망치고 저렇게 인생 끝내는구나"
- 정청래, 청도 열차사고 빈소 방문… 외동아들 잃은 유족 위로
- 한동훈 "대통령 공범 사면 방지법, 반대할 명분 있냐"
- 외국인, 수도권 주택 사려면 2년 실거주 의무…"투기 방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