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부산 남구 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photo 뉴스1
지난 8월 부산 남구 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photo 뉴스1

한국이 중국의 ‘택갈이’ 우회수출의 주요 통로인 사실이 드러났다. 특히 중국산 제품의 한국 경유 대미 우회수출은 미국의 대중 고율관세 부과 영향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박수영 의원(재선, 부산 남구)이 29일, 관세청에서 받은 불법 우회수출 적발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외국에서 한국을 우회해 수출하다 적발된 건수는 총 103건, 액수는 8382억 원에 이른다. 이 중 중국이 적출국(우회 수출 시작국)인 건수는 88건으로 전체의 85%, 금액도 6515억 원(77%)에 달했다. 

우회수출은 낮은 관세를 적용 받기 위해 적출국에서 우회국으로 먼저 보낸 뒤 종착지인 목적국으로 수출하는 방식이다. 관세청은 전 세계적으로 관세 이슈가 부각된 올해부터 우회수출 적발 통계를 관리하고 있으며, 통계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수영 의원은 “우회 수출은 한 마디로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를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로 둔갑시키는 ‘택갈이’ 수법”이라고 밝혔다. 

관세청에 따르면 중국산 제품이 한국을 우회해 다른 나라로 수출하려다 적발된 건수는 2020년 15건(433억원), 21년 13건(427억원), 22년 21건(2104억원), 23년 14건(1188억원), 24년 8건(295억원) 등에 불과했다.

하지만 올해는 지난 8월까지만 지난해보다 건수는 2배 이상, 금액은 10배 가까이 오른 총 17건 2068억원 어치의 중국산 제품 택갈이가 적발됐다. 특히 한국을 우회해 미국으로 가려던 적발 건수는 2020년에 총 4건(68억원)으로 전체의 14%에 불과했는데, 올해 8월까지만 전체의 75%인 15건(3494억원)에 달했다.

박수영 의원은 “20년부터 올해까지 적발된 우회 수출품의 85%가 중국산이며, 올해도 중국산 비율이 70%가 넘는다”며 “수출 강국 대한민국이 중국 등 다른 나라의 우회 수출 통로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