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수도권 주택 가격이 올해보다 2~3%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지방은 수요 약세와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보합 또는 1% 내외 하락이 예상돼, 수도권과 지방 간 주택시장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25일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에서 열린 '2026년 건설·주택 경기 전망 발표' 세미나에서 이 같은 전망을 내놨다.
발표를 맡은 고하희 부연구위원은 "올해 주택시장은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뚜렷했다"며 "수도권은 매수심리와 거래, 가격 모두 회복됐지만,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수요 약세로 하락과 정체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내년 수도권 주택시장은 착공 감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3기 신도시 개발 지연 등 구조적 공급 부족 요인이 이어지면서 2~3%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지방은 인구 감소와 수요 기반 약화 탓에 보합 또는 1% 내외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전세 시장도 수도권은 3%, 지방은 2% 상승이 예상된다. 고 부연구위원은 "전세대출 규제와 기존 세입자의 계약 갱신 증가로 전세 매물이 줄어 공급 축소에 따른 가격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내년 주택 공급은 올해보다 착공이 약 6% 증가하고, 준공은 약 2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 부연구위원은 "2022~2023년 침체기에 급감한 착공 실적 여파로 2025년 이후 준공 물량은 감소하겠지만, 2023년 저점 이후 착공이 회복세로 전환되고 공사비 안정 등 공급 환경 개선으로 실적 회복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16개월 아이 온몸에 멍...친모·계부 학대 혐의로 긴급체포
- 부산시장 전초전? 조경태 "전재수의 북극항로는 선거용 이벤트"
- "김어준 체포하라" "김호중 알겠습니다"...여인형이 밝힌 계엄 '해프닝'
- '아시아 최대 부호' 암바니 방한...이재용과 초격차 회동
- 김용태 "개딸에 맞서자고 '윤어게인'?...극단적인 정치 안돼"
- TV 토론 '젓가락 발언' 이준석...경찰 모두 '무혐의'
- 조국 "가족 수사 배후는 김건희...윤석열은 '응, 응' 했을 것"
- "제왕적 대법원장 시대 끝내자"...민주당, 법원행정처 폐지안 발표
- 마라톤 결승선 '성추행 논란'...선수 "저항할 수 없을 만큼 잡혔다"
- 김건희 "김혜경·김정숙 수사 왜 더딘가"...박성재에 문자 논란
- 쿠팡서 또 근로자 사망...새벽 작업 도중 50대 쓰러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