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photo 뉴시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photo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잔류를 선택한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의 향후 행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앞서 임 전 실장은 더불어민주당 서울 중·성동갑에 공천을 신청했지만 당은 공천배제 결정을 내렸다. 임 전 실장이 지도부에 재고를 요청했지만 당은 최초 입장을 유지했다. 문재인 정부 핵심 참모였던 그의 정계 복귀는 이재명 지도부를 견제할 친문 세력의 대항마가 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민주당 안팎에선 "현 민주당 지도부가 임 전 실장에 대해 결국 공천을 주지 않을 것"이란 얘기가 일찌감치 나오기도 했다. 

4일 임 전 실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당의 결정을 수용한다"며 사실상 당 잔류를 선택했다. 지난 2일 이낙연 새로운미래 공동대표와의 회동도 가졌던 터라 임 전 실장의 결심에는 다양한 정치적 포석이 담겼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때문에 당 잔류를 선택한 임 전 실장의 결정을 두고 벌써부터 오는 8월 열리는 전당대회를 염두한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임 전 실장이 당대표에 도전함으로서 당권 탈환을 노리는 친문계의 구심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로드맵의 전제 조건은 4월 총선에서 민주당이 패하는 것이다.  

물론 임 전 실장 개인적인 현실론도 잔류를 결정한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만약 임 전 실장이 민주당을 탈당해 새로운미래와 같은 다른 당 소속으로 출마했다 낙선할 경우 정치 행보에 치명상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도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와 인터뷰에서 "(임 전 실장이) 당에 남아서 개혁과 혁신을 계속 요구할 것이고 차기 전당대회에서 무엇을 도모할 것 같다"며 "이낙연 새로운 공동대표와 손을 잡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고 강조했다.

또 임 전 실장이 민주당 내부에 남아 있는 친문계 의원들의 결집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공천 탄압을 주장하고 있는 당내 반발 여론을 하나로 모으는 선봉장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현재 민주당에선 단수 공천을 받은 친문계 의원은 고민정·윤건영·이인영 의원 등 소수에 그쳤다. 

설훈 의원은 이날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임 전 실장의 민주당 잔류 결정에 대해 "민주당 내에서도 민주당을 바로잡을 세력이 있어야 한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생각한다"며 "당내에서 당의 문제를 시정하자고 외치는 사람이 있어야 하니 그렇게 한다면 충분히 이해가 간다"고 말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