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왼쪽), 이낙연 새로운미래 공동대표(오른쪽). photo 뉴시스 / 편집 주간조선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왼쪽), 이낙연 새로운미래 공동대표(오른쪽). photo 뉴시스 / 편집 주간조선

이낙연 새로운미래 공동대표가 더불어민주당 잔류를 선택한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별다른 연락을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지난 5일 오후 MBC라디오 ‘권순표의 뉴스 하이킥’에서 “(지난 3일) 두 사람이 함께 뭔가를 해보자, 그걸 위해서 제 출마 기자회견을 연기할 수도 있겠다 싶어 연기했다”며 “그날까지는 그렇게 가는 걸로 돼 있었는데 바로 다음 날 아침 무산됐다”며 임 전 실장이 지난 4일 “당의 결정을 수용한다”고 밝힌 것을 지적했다.

‘번복 과정에서 교감을 계속했느냐’는 진행자의 질문에는 “그건 아니다”라며 “그 뒤로는 (임 전 실장과) 전화가 안 되고, (밤새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저로서는 모른다”고 선을 그었다. 

진행자가 (임 전 실장의 태도에)‘섭섭하냐’고 묻자 “아니다”라며 “임 실장이 가장 고통스러웠을 텐데, 고통스러웠던 2~3일 동안 자기 고민을 저하고 함께 얘기하고 생각을 공유한 것만으로도 고맙다”는 마음을 전했다.

아울러 자신이 더불어민주당을 떠나게 된 배경을 두고 “떠나기 전에 많은 고민을 했다”며 “고통을 겪었고 만약 지금까지 민주당에 남아 있었다면 뭘 하고 있었을까. 아무 소리 안 하고 있거나 듣지도 않을 소리 간간이 하거나 그렇게 갔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제가 미국에 유학 중일 때 저를 제명하라는 청원이 당내 게시판에 올라갔고, 7만명이 서명했는데 아무도 말리지 않았다”며 “그런 일들을 보면서 제가 뭘 느꼈겠나. 여기서 정치 활동을 한 것도 아니고 미국에서 책 쓰고 있을 때였는데 웬만하면 내부에서 고쳐보려고 노력했고 참고 기다렸지만 그게 불가능하다는 걸 알게 됐다”고 전했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는 그동안 임 전 실장이 탈당 후 이 대표가 이끄는 신당인 새로운미래에 합류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임 전 실장이 민주당에 잔류하기로 한 이상, 당내 반명(반이재명)계 파괴력 역시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