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대기업 남녀 직원 근속기간 격차는 다소 줄은 가운데, 연봉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2019년과 작년 현황을 비교할 수 있는 352개 사의 남녀 직원 평균 근속연수와 연봉을 살펴본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현황을 살펴보면 2019년 남성 직원들의 평균 근속연수는 11.6년, 여성은 8.2년으로 격차는 3.4년이었다가 지난해 남성 11.7년, 여성 8.9년으로 그 격차는 2.8년으로 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녀간 평균 연봉 격차는 2019년 약 2950만원에서 지난해 3160만원으로 벌어졌다.
2019년 남성의 평균 연봉은 8419만원이었으며, 여성은 5465만원으로 2954만원 차이가 났다. 그러나 지난해 남성 1억151만원, 여성 6993만원으로 평균 연봉 격차가 3158만원으로 벌어진 것이다.
이에 대해 리더스인덱스는 "동일 업종, 동일 기업 내에서도 여성들이 남성보다 연봉이 낮은 직무에 분포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일부 업종은 여직원들의 평균 근속연수가 남직원보다 긴데도 연봉은 뚜렷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사업종의 경우, 지난해 직원 평균 근속연수는 남성 10.6년, 여성 12.4년이었으나, 여직원들의 연봉(7천400만원)은 남성(1억2천만원)의 61.7% 수준이었다.
지주회사는 남성이 평균 3.7년, 여성은 3.8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성 대비 여성 연봉 비율은 67.6%로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증권업 역시 여성 직원 근속연수가 11.3년으로 남성(11.2년)보다 길었으나, 여성 평균 연봉은 남성의 63.1%였다.
보험업은 지난해 기준으로 남녀 간 근속연수 비율이 94.6%까지 좁혀졌다. 그러나 연봉 비율은 65.1%로 여전히 차이가 컸고, 은행업도 여성 근속연수가 남성의 91.0% 수준이었지만 연봉은 71.9% 수준에 불과했다.
한편, 작년 기준으로 남녀 간 연봉 격차가 상대적으로 작았던 업종은 운송, 제약, 통신, IT서비스, 자동차·부품 등이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이종섭 반발 "채상병 특검법 부적절"
- "자녀계획 있다" 젊은층 늘어나...저출산 희망 보이나
- 다시 IMF? ‘환율 1400원’ 공포...“과거와 달라”
- 안철수 "진정성 전달 안돼"...尹 메시지 與에서도 쓴소리
- "일단 잘라라" 왜 의사들은 복지부차관을 노리나
- 한국 ‘보통가구’ 월수입 544만원... 평균자산 얼마?
- 이준석 "환자는 용산에 있다" 尹 대통령 겨냥
- 김기현 “법사위원장은 與가 해야...최소한의 ‘협치’”
- 이혼했다가 청약받고 혼인신고...부정청약 154건 적발
- 오비이락? 박영선 총리설 직전 “일찍 귀국”
- “뭘 해도 잘할 것 같다”는 이준석, 상임위 어디로?
- 망고빙수 한 그릇에 10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