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출산 문제가 나날이 심각해지는 가운데 향후 출산율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통계가 나왔다.
17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자녀계획 의향을 밝힌 20∼30대 젊은 층이 직전 조사인 2020년 때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부는 지난해 6∼7월 전국 1만20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5년이었던 조사 주기를 2020년 3년으로 단축한 뒤 처음 실시한 조사이기도 하다.
연령대별로 자녀계획 의향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자녀 계획이 '있다'고 답한 30대는 27.6%, 30세 미만은 15.7%로 각각 2020년 조사 때보다 9.4%포인트, 6.8%포인트 올랐다. 반면 자녀 계획이 '없다'고 답한 30대는 44.4%, 30세 미만은 19.0%로, 직전 조사 때보다 각각 10.3%포인트, 13.5%포인트 떨어졌다. 30세 미만의 65.3%는 자녀 계획을 '생각해본 적이 없다'고 답해 주로 30세 이후에 자녀 계획 여부를 결정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세 이상∼50세 미만에서도 자녀계획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5.2%로 직전보다 1.1%포인트 올랐다.
자녀 계획이 있는 경우 평균 희망 자녀 수는 1.5명이었다. 전체적으로 2020년과 동일했지만, '1명과 2명'은 증가하고 '3명과 4명' 이상은 감소했다.
비혼 독신이나, 이혼과 재혼, 동거 등 전통적인 가족 형태를 벗어난 가족 개념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도 드러났다.
특히 '결혼하지 않고 독신으로 사는 것'에 찬성하는 비율이 크게 늘었다. 응답자의 47.4%가 '독신으로 사는 것'에 찬성한다고 답했는데 2020년 조사(34.0%)때 보다 13.4%포인트 크게 증가한 수치다.
'결혼하지 않고 남녀가 함께 사는 것'에 동의하는 비율은 26%에서 39.1%로 증가했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지 않는 것'에 동의한다는 비율도 28.3%에서 34.6%로 늘었다. 올해 처음으로 조사한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사람이 자녀를 입양하는 것'엔 10명 중 2명(20%)이 동의했다.
특히 이 같은 질문에 대한 찬성 응답률은 연령이 낮아질수록 높았다. 20대는 '비혼 독신'(66.9%), '결혼하지 않고 남녀가 함께 사는 것'(57.7%), '이혼이나 재혼'(59.6%), '결혼하고 무자녀 생활'(56.6%) 등에 동의한다고 답한 비율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70세 이상은 '비혼 독신'(19.4%), '이혼·재혼'(29.4%), '결혼하고 무자녀'(13.2%) 등에 동의하는 비율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낮았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다시 IMF? ‘환율 1400원’ 공포...“과거와 달라”
- "일단 잘라라" 왜 의사들은 복지부차관을 노리나
- 김웅 ‘비즈니스석 금지’ 조국혁신당에 “내로남불” 비판
- 중동 사태에 치솟는 '유가·환율·금리'
- 與 지지층 45% 원하는 ‘한동훈 대표’
- 비트코인에 중국 자본 들어오나?
- 옷 갈아입은 총선 후보들 성적표는?
- 일본 “독도는 일본 땅”… 외교부, 강력 항의
- 김정은, 올해 태양절에도 김일성 참배 생략, 자신감 표현?
- GTX 삼성역, 개통 지연으로 ‘흥행 부진’...정부가 손실 부담?
- ‘男 1억 vs 女 7천만원’... 대기업 남녀 연봉 차 적은 업계는?
- 한국 ‘보통가구’ 월수입 544만원... 평균자산 얼마?
- 이준석 "환자는 용산에 있다" 尹 대통령 겨냥
- 손발톱·발바닥 살피면 피부암 예측할 수 있어
- 망고빙수 한 그릇에 10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