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 컨테이너들. photo 뉴시스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 컨테이너들. photo 뉴시스

우리나라의 대(對)미국 수출액이 제조업 직접투자(FDI) 등에 힘입어 21년 만에 대중국 수출액을 앞질렀다. 다만 미국은 산업구조 특성상 수입중간재 투입비중이 낮고 생산비용은 높아 우리 기업들의 투자에 따른 수출증대 효과는 점차 약화 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은행이 18일 공개한 '대미국 수출구조 변화 평가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이후 우리나라 총수출에서 미국의 비중이 계속 커져 올해 1분기에는 대미국 수출액이 지난 2003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대중국 수출액을 앞질렀다. 미국 수출이 늘어난 것은 미국의 탄탄한 소비와 투자 확대에 한국 기업들이 적극 대응한 결과로 평가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이후 대미국 수출의 구조적 특징으로는 미국 내수(소비·투자)와의 연계성 강화, 신성장 산업 중심의 중간재 비중·다양성 확대, 소비재 비중 장기간 30% 유지 등을 꼽았다. 

일단 한은은 대미국 수출 증가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의 활발한 소비·투자가 한국의 직접 수출뿐 아니라 중국·아세안을 통한 간접 수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우리의 대규모 무역흑자로 인해 미국의 한국에 대한 무역제재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자국산업보호에 대한 여론이 고조될 때 각종 무역제재를 강화한 사례가 있는데 그 예로 2017~2018년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FTA 재협상 추진, 세이프가드 등을 시행한 바 있다는 설명이다. 

한은은 우리 정부와 기업이 통상정책적‧산업구조적 위험에 집중하면서 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통상정책에서는 통상 압력 완화를 위해 미국으로부터 에너지와 농축산물을 더 많이 수입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주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