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22대 국회에서 1호 법안으로 내세운 '한동훈 특검(특별검사)법'과 관련 "이미 준비돼 있다. 총선 시기에 공약했기 때문에 당연히 지킬 것"이라고 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예고장을 날린 셈이다.
조 대표는 29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민주당과 이 법안을 언제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협의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조 대표는 총선 당시 22대 국회가 구성되면 첫 목표로 한동훈 특검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조국혁신당이 제시하는 특검법에는 한 전 위원장 관련 '정치검찰의 고발사주 의혹·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관련 의혹·딸 논문 대필 의혹 사건 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을 담을 예정이라고 한다.
다만 민주당 일각에서 '한동훈 특검법'이 오히려 한 전 비대위원장 체급을 올려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앞서 정부여당의 총선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한 한 이후 활동이 없는 한 전 위원장을 띄워주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다.
이에 조 대표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체급이 올라가는지 내려가는지 별로 관심이 없다. 그런 것은 정치공학적 사고"라면서 "한동훈 위원장이 검사장 시절 내세웠던 '살아있는 권력에 대한 수사'를 그대로 본인에게 적용하는 것이 맞지 체급이 헤비급인지 페더급인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한 전 비대위원장은 윤석열 정권 탄생의 기획자이자 지난 2년간 윤석열 정권의 황태자였다"며 "살아있는 권력 중의 살아있는 권력"이라고 비판했다.
한 전 위원장이 전당대회에 출마할 가능성에 대해선 "저희 생각으로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은 총선을 통해서 이미 국민의 심판을 받았다고 보지만 그분을 국민의힘의 대표로 모시는 문제는 국민의힘 당원들이 알아서 할 일이다"고 선 그었다.
그러면서도 "만약 한 전 위원장이 국민의힘의 대표로 복귀한다면, 집권당 대표가 되니까 다시 한번 살아있는 권력이 되는 것으로 한동훈 특검법 등을 통해서 수사를 더욱더 철저히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조 대표는 지난 25일 진행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비공개 만찬 자리에서 나눈 내용도 전했다. 그는 "윤석열 정권 심판을 위해 향후 공통과제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남용해왔다는 판단을 공유하고 지금까지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들을 22대 국회에서 재발의해야 한다는 점에서 인식의 공유가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야권 연석회의라는 단어는 쓰지 않았지만 범야권의 공통으로 추진할 정책과 법안을 만들기 위해서 서로 협의하자는 점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됐다"고 부연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中 출장 홍준표, 푸바오 묻던 지지자들에게 “대구 데려올 수도?”
- 전여옥, 민희진 소환 "국힘은 투지 보고 배워라"
- 이준석 "박 대령 억울함 외면 국힘, 어디서부터 잘못됐나?"
- 윤상현에 1025표차 진 남영희, 선거무효소송 제기한다
- 이철규 "거부할 법안이면 거부권 1000번이라도"
- 안철수 "의대 2000명 증원, 의료체계 완전히 망쳐"
- 한국 정치인 유튜버 중 첫 100만 달성…이재명 '골드버튼' 받는다
- 이준석, '尹 조건 없이 만난다' 이재명 향해 “될 것도 안 돼”
- 청구서 내미는 조국혁신당, 고개 갸우뚱하는 민주당
- 한동훈이 직면한 4가지 난관
- 홍준표 "한동훈 특검받을 준비나" 조국당 추진법에 힘실어
- ‘조국의 바람’은 국회에서 어떤 방향으로 불까
- 안철수, 차기 대통령 질문에 자신만만 “저요!”... 무슨 일?
- "협치해야"...尹李 만남 코앞까지 여야, 회담의제 두고 한마디
- “7천원짜리 산채비빔밥 대박” 칭찬 쏟아진 지역축제 어디?
- 황우여, 국힘 비대위원장 지명...'올드보이' 귀환 두고 당내 평가는?
- "만져 봤는데 곧 죽을 듯”...北 코로나 봉쇄에 아사 주민 참혹 영상
- "소통 물꼬 터 VS 변화 없어"...尹李 첫 회동에 엇갈린 여야 반응
- 이준석 "가족은 좀...'한동훈 특별법' 가족수사 연좌제 안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