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 반미단체 활동으로 논란이 일은 더불어민주연합의 '비례대표 1번' 후보 전지예 금융정의연대 운영위원이 사퇴했다.
전 운영위원은 12일 입장문을 통해 "오늘 더불어민주연합 비례후보로 등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시민사회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전 운영위원은 "국민후보 경선에 도전하게 된 것은 불평등 해소와 소외계층, 약자를 위한 후보를 선발한다는 것 때문이었다"며 "제 도전으로 22대 국회가 세대 다양성 국회, 젊은 국회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어 "뜻밖의 결과로 1등을 하게 됐다"며 "그러나 국민후보 오디션이 끝나자마자 보수 언론들은 저를 '종북, 반미단체 출신'이라며 낙인찍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한미연합훈련 반대, 주한미군 철수를 외치던 단체 대표 출신', '노골적인 종북 인사'라며 사실과 다른 주장으로 국민경선의 취지를 폄훼했다"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낡은 색깔론을 꺼내들어 청년의 도전을 왜곡하는 국민의 힘에 분노한다"며 "심판당해야 할 국민의힘이 오히려 칼을 꺼내들어 시민사회를 공격하고 우리 사회 진보와 개혁을 가로막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
전 운영위원은 "윤석열 정권 심판을 바라는 국민들께 일말의 걱정이나 우려를 끼치고 싶지 않다"며 "국민후보를 사퇴한다. 진심을 이해해주시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2대 총선은 반드시 검찰독재 윤석열 정권심판이 돼야 한다"며 "민주진보시민사회의 연합정치 성과가 훼손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은 시민사회 몫으로 전 운영위원 등 4명을 국민경선으로 선발했다. 이 가운데 여성 1위를 차지한 전 운영위원은 한·미 연합훈련 반대 시위를 벌여 온 '겨레하나' 활동가 출신으로 논란이 일었다. 겨레하나는 통합진보당의 후신 격인 진보당과 긴밀한 관계로 각종 시위 등등에서 연대했다. 특히 전 위원은 비례대표 후보 선발 과정에서 이러한 활동 내역을 거론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같은 논란이 일자 민주당은 전날 최고위원회에서 시민사회 측 비례후보에 대한 우려를 냈으며 이를 민주연합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국힘, 한동훈 총괄에 '원안나윤' 공동 선대위원장
- '코인논란' 김남국 “민생운전자 이재명 필요해”
- 조국 "검찰 독재 조기종식 위해 한동훈 특검법 발의"
- 박근혜 탄핵 언급한 MB? "광우병, 나 아닌 다음 대통령 끌어내려"
- ‘한동훈 특검법’ 예고한 조국 “고발 사주 의혹‧딸 논문대필 수사”
- 나경원 "조국신당, 야권이 전체적 그림 그리며 결집하는 모양새"
- 與, '난교' 발언 장예찬에 "공천 취소할 정도 아냐"
- '무연고' 안귀령, '동 이름' 질문에 '묵묵부답'... 김재섭 "민주당 호구냐"
- “4선 축하 박덕흠?"... 총선 한 달 남았는데, 무슨 일?
- 옥중 송영길, 광주서갑 출마…민주 위성정당 합류 못해
- 이준석 "한동훈, 장관 때 이종섭 출금 몰랐으면 무능"
- 아들 둘 죽인 매정한 엄마...“유흥업소서 원치 않은 임신”
- 늘어난 1인 가구... 과거보다 심각해진 '비만 주의보'
- 격전지 화성을 국민의힘 후보, “동탄시 독립”
- D-30 삐끗하면 진다…설화에 고개숙이는 여야
- 여야 선대위 ‘원톱’과 ‘3톱’ 속에 담긴 노림수
- "비례도 민주당이"…지지층 '지민비조' 움직임에 화들짝
